본문 바로가기

채권투자9

2024-01-20 매크로 뷰: 가격은 땡겨놨고 이제 데이터로 확인이 필요 - 피벗의 피벗이 나오고 있다. - 금리 = f(인플레이션, 성장, 국채공급, ...)을 기억하자. - 최근 3개월의 시장을보면 대략 - 작년 10월 까지 인플레와 성장이 견조한 가운데 3번째 팩터인 수급 우려까지 까지 더해지며 미국채 금리 급등. - 작년 11월~ 12월 인플레이션 정상화에 대한 확신과 리세션(경기침체) 프라이싱 시작 시장금리 급락. 연말 파티. - 시장은 미국의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6번까지 반영. - 6번 가까운 인하를 반영해 놓은 시장은 심한 역캐리 구간에 진입. 즉, 채권을 사면 조달비용이 채권금리보다 높아 손실 누적. -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권을 사는 이유는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자본이득을 얻기 위해서임. - 역캐리 무서워서 롱을 못지르면 돈을 못번다. - 하지만 금리 인하가.. 2024. 1. 21.
2024-01-11 한국은행 / 금융통화위원회 / 기준금리 금일 금통위 전 써놓은 금통위 시나리오 및 대응 기록 2024. 1. 11.
2024-01-01 포트폴리오 - 채권 추가 랠리 진행됨에 따라 평가 손익 상승 - 메리츠증권 추가 매수 - 금리 레벨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TLT물타기한 수량 만큼은 이익 실현하여 현금화 >> 금리 조정시 다시 채권 추가매수 계획 - 여전히 초 방어적 포트폴리오로 채권 이익실현분을 주식매수 자금으로 사용해갈 생각. 2024. 1. 1.
2023-09-10 매크로 시장, 금융시장, 인플레이션, 성장에 대한 생각 - 현재 한국 이자율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팩터 중국과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 중국은 현재 디플레이션, 경기 아주 안좋은 상황으로 이자율 하락 요인 - 미국, 글로벌은 경기가 죽지 않고 최근 유가가 상승하면서 이자율 상승 요인 - 두가지 요인을 번갈아 프라이싱하며 이자율 시장은 큰 스윙을 반복 - 앞으로를 생각 해 보면 가까운 시일 내 중국경기가 회복 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보임. - 그러나 미국 경기는 속도가 느릴지언정 분명히 쿨다운 될 것. 인플레이션은 이미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음. - 결국은 금리 하방 안정 기대. - 금리 프라이싱의 두 요소인 성장과 인플레중 인플레 잡히는것은 확인 중. 성장은 아직 꺽이지 않는 모습. - 금리를 그렇게 많이 올렸음에도 성장이 너무 견조해 다들 갈피를 못잡고 있다.. 2023. 9. 10.
국고채권 바이백 - 국고 만기 이전에 기재부는 특정 종목들을 조기상환 하는데 이를 바이백이라 함 - 주로 하반기에 항상 한다. (12월 제외) - 오피셜한 공지는 발계에 나옴. - 통상적으로 만기까지 1~2년 남은 종목들이 대상 - 각 분기마다 만기가 떨어지는 수량을 최대한 일정하게 맞춘다는 생각으로 보자. - 그렇다보니 잔고가 많은 종목이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더군다나 비슷한 만기인데 금리차가 크게 나는 경우 기재부 입장에서도 금리 높은 놈을 사는게 유리. - 종합하면 잔고가 많고 금리가 높은 종목이 대상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 다음달에 발계 나오는 주 정도에 찾아서 담아보기로 ex) 9월 발계와 19-5 트레이드 8월 중순 금리 3.70 수준 기준금리 3.5% 인 상황에서 만기 1년 남짓 19-5가 1회 가.. 2023. 8. 24.
국고채 10*30 커브와 입찰 스케줄 시장에 가장 많은양의 듀레이션이 공급되는 국고채 30년 입찰. 30년물 입찰은 매월 첫 째 주 월요일에 주로 진행되고 이로인해 채권시장은 일정한 사이클 및 패턴을 형성 30년 입찰 스케줄과 주요 커브 패턴을 간략하게 알아보자 1. 입찰일 이후 20일간의 10*30 커브 움직임의 평균 - 데이터 기간 2019년 1월 30년 입찰부터 최근 입찰까지. - 입찰일부터 플랫되는 경향이 강하고, 입찰 이후 10영업일은 지나야 스티프너 가능성이 높아진다. 2. 30년 입찰 전 후 5영업일간 주요 커브 움직임 - 입찰 전 가장 기대값이 높은 커브는 5*30 스티프너 - 입찰 후 가장 기대값이 높은 커브는 3*30 플래트너, 확률이 높은건 3*10*30 플라이 2023. 8. 9.
수익률 곡선 역전과 경기 침체, 장단기 금리차, 리세션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기 시작하면 경기 침체가 온다고 합니다. 맞습니다. 그럼 역전되고 시간이 얼마나 지나야 침체가 올까요 ? 최근 미국의 고용과 소비 지표가 굉장히 견조합니다. 특히나 여러 선행 지표들이 경기가 꺾이는 방향을 보여 줬음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소비가 계속 강하게 나와 굉장히 당황스러운데요. 경기 침체를 예상하며 현금비중을 늘리고 방어적인 태도를 고수한 투자자들은 최근 강한 미국경제와 주가에 굉장한 소외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고요. 그러나 매크로 사이클에서 시간차는 굉장히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번 사이클이 특히 지난 사이클들에 비해 왜 길게 이어지는지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들도 몇가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익률 곡선의 역전 (Yield Curve Invers.. 2023. 7. 2.
화폐금융론 다시보기 (1) 이자율(채권금리)의 변동 설날 부모님 집에 갔다가 내방 책꽂이에서 우연히 다시보게 된 미쉬킨 교수의 화폐와 금융. 별 생각없이 외우고 공부하고 시험친 그 책을 지금와서 다시보니.. 내가 하는일에 기본기, 정수가 챕터마다 오롯이 담겨있다. 하나하나 다시 정리해보며 기본을 생각해보려고 한다. I. 채권금리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 두가지 중 첫 번째 : 자산수요모형 어떤 자산의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아래 네가지로 정리된다. 1) 재산, wealth 2) 기대수익률 expected return 3) 위험 risk 4) 유동성 liquidity 여러 Asset Class들간의 상대적인 2), 3), 4) 요인들의 비교가 매크로한 머니무브를 결정하고 자산배분에 따른 포트폴리오 성과를 결정하는 것.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할때 각.. 2023. 1. 23.
2023년 국고채 발행계획 리뷰 1. 총발행 계획 167.8조 - 작년 168.6조 대비 -0.8조 소폭 감소 - 만기별 비중 30 35 35 - 중기물 5~10년 발행비중 축소 - 1분기 42~48조 발행 (작년엔 53.3조 였음) - 하반기부터 매월 정례바이백 실시 2. 국고채 수요여건 - 은행 - 자산규모 증가와 24년 1월 100%로 정상화 되는 LCR비율로 인한 수요 확대 예상 - LCR비율이 100% 이던 16~20년도 평균 비율인 110%를 현재 은행의 자산규모에서 달성하기 위해서는 올해 30조 가량의 국고채 수요 >> 5년물에 긍정적 ? - 보험 - 22년 자금여건 악화로 국고 보유규모가 21조원 가량 감소 - 23년도 자금 전망은 어떤지 ?? - 초장기 수요는 계속될건지? - 혹시 중기물엔 관심 없는지? - 외국인 - .. 2022.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