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ro
지난주 나온 경제지표들 리뷰 (실제/예상/전월)
미국 JOLTS 7.74mm 으로 예상치, 전월 상회
미국 소비자물가 코어 3.1 / 3.2 / 3.3
미국 소비자물가 헤드라인 2.8 / 2.9 / 3.0
물가가 예상 및 전월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금리 내렸다가 반등하며 마감.
미국 생산자물가도 근원 -0.1 / 0.3 / 0.5로 하회 금리 -7비피 가량 하락 반
유럽 산업생산 0.8 / 0.5 / -0.4 확실히 유럽의 회복 기미를 보이나 ?
미국 미시간 기대인플레 1년 +0.6%p 상승해 4.9% 기록, 22년 11월 이후 최고치 기록
미국 미시간 소비자심리는 -2.2 하락해 63.5
미국 미시간 소비자기대는 -9.8 하락해 54.2
>> 엇갈리는 소프트데이터와 하드 데이터
소프트데이터는 관세 및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을 반영하며 심리 악화 및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
하드데이터는 물가 예상 하회 및 고용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 보였음.
소프트 데이터의 악화가 자기 실현적으로 침체와 인플레이션 상승을 이끌지가 관건.
>> FOMC 어떨까
지난주 주요 지표 결과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지속성과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여전.
다음주 FOMC가 핵심 이벤트인데..
연준의 SEP조정이 어떤방향으로 이루어지느냐가 중요.
1. 단기 인플레 전망 상향 + 단기 성장 전망 하향 (매파적 해석) >> front-end vs belly flattening risk
2. 점도표 기준금리 인하 예상 중간값 2회에서 3회로 조정 (완화적 해석) >> front-end out perforn vs rest of the curve
종합하면 불플랫 대응이 유리?
US rates

미국 10년 지난주 5bp 상승
위아래 등락만 하고 뚜렷한 방향성 없었이 FOMC대기.
이번주도 FOMC전까지는 특별한 레벨 움직임 없을 듯 하며 레인지 대응 유효 (4.25~4.35)
FOMC 결과에 따라 4.45로 가냐 4.10으로 가냐 결정될 듯.
KR rates
Duration
국채 3년 2.587, 기준금리 -15bp.
주요 국가들 중 기준금리 대비 금리 레벨이 가장 낮음.
그래도 6개월 IRS 1회 인하 반영을 아직 다 안하고 있고
1년 IRS도 1회 +2/3 컷 정도를 반영하고 있어 여전히 단기금리에 추가 인하 반영할 여지는 충분히 남아있다.
터미널 프라이싱이 2.5%에서 끝나버리지 않는 이상 2년 이하 단기금리는 큰 리스크가 없어보임.
fairvalue로 봐도 1y1y swap, 10y KTB 모두 15bp 정도의 밸류가 남아있어 보임.
Curve
트럼프 관세 초기 반응으로 단기 인플레 상승 + 성장 둔화 프라이싱 >> 플랫반응
소프트 데이터가 먼저 약해지며 플랫될 수 있지만, 결국 하드데이터까지 안좋아지면 불스팁이다.
어느정도 롱포지션으로 플랫을 방어하고, 커브 플랫이 진행 될 떄마다 스티프너를 모아가는 대응.
펀더멘털상 중장기적으로는 스팁 우세.
단기적으로 이번주부터 한국 추경 논의 시작 + 월요일 10년 국고채 입찰 >> 스팁 우세
RV
비싼 순서로 선물원월 > 바스켓 > 스왑 > 통안
통당 매수에 원월 3선 매도 포지셔닝 진입.
FX
달러 약세추세 강하게 나오는중.
원화는 40~60원 레인지 갇혀서 강해지지 못하고 있는데, 그래도 하방이 더 우세해 보임.
다만 이번주는 달러 급하게 내려와 되돌림 나올 가능성이 있고, 추가 재로 없이 달러원 하방돌파 어려워 관망.
오버나잇 포지션 없이 장중 매매 시그널에 따른 기계적 매매만 수행.
정리하면
포지션은 원화 1~1.5 swap rec + 통안 어느정도 롱 + 3선매도 + 스티프너
내 포지션의 FOMC의 리스크는 베어플랫. 트레 2*5 플랫 어느정도 하면 방어 될듯.
RV는 원월 3선매도 통안매수
'글로벌매크로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04-04 daily 상호 관세 발표 2일차 (0) | 2025.04.06 |
|---|---|
| 2025-03-17 daily (0) | 2025.03.17 |
| 2025-03-06 daily (0) | 2025.03.07 |
| 2025-03-03 daily (0) | 2025.03.03 |
| 2025-02-24 daily 금통위 프리뷰 (0) | 2025.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