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막스4 Howard Marks_투자에 대한 생각_시장의 사이클 투자 시장에는 주기가 있다. 정확한 시간을 전제 할 수는 없지만 당장 아무 주가 차트만 보더라도 우리는 주기성을 볼 수 있다. 시계가 긴 주기는 주기로 보이고 시계가 짧은 주기는 노이즈로 보인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에 이 둘은 그냥 어떤 타임 프레임으로 바라보느냐의 차이 일 뿐 본질적으로 같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1) 대부분의 것들이 주기를 따른고. 2) 주기는 절대로 멈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장에 이런 up & down이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투자활동 좀더 본질적으로는 인간의 경제활동이 말그대로 인간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감정적이고, 일관되지 못하며, 꾸준하지 않고, 단순하지도 않다. 전망이 낙관적인 상황에서 사람들은 더 소비하고 투자한다. 그러.. 2019. 2. 17. Howard Marks_투자에 대한 생각_리스크 투자는 정확히 한가지로 이루어진다. 바로 미래를 상대하는 것이다. 누구도 미래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리스크를 피할 수 없다. 이 피할 수 없는 것, 리스크에 확실하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장기간 성공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리스크를 이해하고, 인지하고, 제어해야한다. #리스크의 이해 리스크라는 것이 무엇일까? 하워드 막스는 '리스크란 절대적으로 돈을 잃을 가능성'이라고 말한다. (재무이론에서는 표준편차, 변동성으로 정의)주로 낙관적인 심리, 그리고 그로 인해 지나치게 상승한 가격에 원인이 있다. 즉 자산가격이 지나치게 높아진 시장 환경에서 돈을 잃을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따라서 가치투자자들은 자산을 가치보다 싸게 매입함으로서 고수익과 저위험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고 믿는다. #리스크 인지리.. 2019. 2. 5. Howard Marks_투자에 대한 생각_가격과 가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해라 가치투자의 효과를 확신하게 되었고, 주식이나 다른 자산의 내재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하자.이제는 그 가치와 가격을 비교해서 볼 수 있어야 한다.오크트리에서는 "잘 사기만 한다면 절반은 판 것이나 다름 없다"는 말을 한다. 무조건 싸게 사야하는 것이다. 그러면 가격이란 어떤 요소를 포함하는가?물론 내재가치가 바탕이 되지만, 두가지 요인이 더 작용한다. 바로 심리와 기술적 요인이다. 기술적 요인은 증권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소들이다. 마진콜을 당해 강제로 주식을 매각해 자금을 만들어야 하는 투자자들이 있을 수 있고, 펀드 환매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주식을 처분해야 하는 매니져도 있을 것이다. 또는 새로운 종목이 지수에 편입되며 인덱스를 추종하는 펀드들이 종목을 담을 수도 있다... 2019. 1. 20. Howard Marks_투자에 대한 생각_가치란 무엇인가? 3장에서 하워드 막스는 가치투자란 무언인지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알려주고 있다. 가장 오래되고 단순한 투자규칙이 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이렇게 지극히 단순한 투자규칙에서 싼것과 비싼것의 기준을 내재가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치투자이다. 내재가치보다 싸면 사고 비싸면 판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내재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해야한다. 증권 투자에 이용되는 분석은 크게 두가지 종류로 구분 할 수 있다.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는 기본적 분석과 가격의 움직임 그 자체를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이다. 하워드는 가치투자자이며 기술적 분석을 믿지 않는다. 또한 과거 가격 동향을 추종하는 모멘텀투자 역시 언급하는데 논조가 비판적이다.그는 특히 모멘텀 투자에 대해서 '내가 평가를 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라고 말은 .. 2019. 1.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