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기록7 2025-04-14 포트폴리오 .오랜만에 올리는 포트폴리오 업데이트.관세 충격에 주식 비중을 조금 확대했고.최근 변동성 장세에서 미국 채권금리가 크게 올라 좋은 기회가 만들어 진듯.이 부분을 수익화 할 필요가 있어보여 레버리지 이용한 큰규모의 미국채 매입을 준비. .주식 32%.채권 3%.부동산 45%.현금 20% .주식은 현재 로우베타 포트폴리오로 하락장을 잘 넘어가는 모습이고.주식의 비중은 유지한채 베타를 확대하거나 하이베타 주식으로 추가 매수하거나 공격적인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 .낮아진 채권비중을 상승한 미국채 금리 이용해 다시 확대하며 안정성을 추가. 정리하면주식 베타 확대채권 비중 확대 미국채 가용래버리지/주식 비중이 2배 이상이므로 현금비중을 조금 소진해 주식을 좀 매수해도 괜찮은 상황으로 보임. 2025. 4. 14. 2024-09-09 포트폴리오 순자산 구성비율 주식 23.1% 상대가치 0% 채권 8.6% 부동산/대체투자 37.3% FX 2.4% 현금 28.6% YTD net asset value +25.4%.. 올해 계속 제자리 걸음인듯. 주식은 배당/가치주에 비중이 높고,,아무래도 테크버블 이후 자금은 바이오 헬스케어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 금리인하 사이클 중반이 지나기 전까지 배당성장 위주의 주식포트폴리오 유지. 다운사이클에서 적극적인 캐피탈 게인 추구하기 보다는 북사이즈를 착실히 키워 다음 업사이클에 크게 벌 수 있도록 셋팅. 눈을 조금 낮추고 체급을 키우는데 집중하자. 최근 채권 비중을 다시 높였고 지난주 채권 랠리에 따라 월요일 일부 차익실현 계획. 앞으로 2~3년은 채권도 계속 높은 비중으로 늘려가야 할 자산. 앞으로의 인구 .. 2024. 9. 11. 2024-04-05 포트폴리오 - 주식 비중을 조금씩 늘려가는 중 - 기존 리세션 뷰에 바이어스 되어있던 포트폴리오는 유가상승 및 미국경기 지속성장 리스크에 취약했고, 3분기 까지 유가 상승 및 커브 스티프닝 리스크가 커보여 미국채 포지션 전량 손절 및 옥시덴탈 매수 - 하지만 여전히 현금 비중이 높아 보수적인 포트폴리오 상황, 작년 보너스 지급으로 생긴 현금을 한번에 투입하기엔 부담스러운 시장 레벨. 향후 포트폴리오 운용은 3가지 전략으로 이루어질 예정 1. 매월 나스닥 + 반도체 etf 모아가며 장기 투자 (BS 관점의 투자) 2. 5천만원 정도의 자금으로 코스피/코스닥 롱숏 RV 트레이딩 (IS 관점의 매매) 3. 저평가 혹은 잠재력 있는 개별종목에 일부 투자 1번은 자산을 계속 증식시켜 북사이즈를 키우는 의미가 있고 2번은 지.. 2024. 4. 6. 2024-02-25 포트폴리오 - 채권금리 연초부터 상승해 채권 포트폴리오에서 손실 중 - 코스피롱코스닥숏 전략 익절 후 JYP소량 매수 - 엔화롱 포지션은 너무 오래걸릴 테마 + 역캐리 부담으로 기회비용 너무 크다 생각해 일단 정리 - AI테마로 주식 미친듯이 오르는데 메리츠 증권 말고는 주식이 없어서 벼락거지 신세 - 그나마 메리츠증권이 잘 올라줘서 다행 >> 계속 비중 추가 - 회사 연말 보너스 지급으로 현금비중 27.9% 에서 41.9% 까지 상승. 근로소득 포함 올해 순자산 증가율 +24.89% - 보너스로 확보된 현금을 어디다 해야할지 아직 모르겠는 상태. 결국 주식 비중을 늘려야하는데 계속 신고가 경신이다 보니 손이 안나감.. - 채권을 익절하면서 주식 비중을 확대해 나가는 선순환 사이클을 기다렸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은 .. 2024. 2. 25. 2024-01-01 포트폴리오 - 채권 추가 랠리 진행됨에 따라 평가 손익 상승 - 메리츠증권 추가 매수 - 금리 레벨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TLT물타기한 수량 만큼은 이익 실현하여 현금화 >> 금리 조정시 다시 채권 추가매수 계획 - 여전히 초 방어적 포트폴리오로 채권 이익실현분을 주식매수 자금으로 사용해갈 생각. 2024. 1. 1. 2023-12-14 포트폴리오 - 투자 집행이 아직 많이 안돼 현금비중이 굉장히 높은 상황. - 개별 종목은 메리츠증권만 보유중. - 매크로 테마를 2024년 리세션으로 보고 있어서 채권롱, 엔화롱, 코스피200롱, 코스닥숏 등 리세션 바이어스가 많이 들어가있음. - 특별한 일 없으면 월별 업데이트 2023. 12. 14. 2023-12-12 인생 주식회사 경영 - 내 인생을 하나의 기업으로 생각 해 보자. 직장생활 이라는 영엽활동을 통해 현금흐름을 만들고 영업활동의 잉여금으로 축적한 자본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순자산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형태의 아주 단순한 사업모델로 볼 수 있다. 이 사업이 성장하기 위해 1. 연봉을 높이고 2. 축적한 자본에서 복리 효과를 일으켜야한다. - 기업의 초기단계(사회초년생)에서는 자산이 없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쓰지 않는한 자본의 복리효과보다 연봉이 성장에 더 큰 기여를 한다. 그래서 자산이 없는 초기 단계에는 주 영업활동인 직장에 집중하여 미래에도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캐시플로우가 형성 되도록 기반을 닦는다. - 그러나 어느정도 직장생활을 하고 돈이 모이기 시작하면 ceo는 고민을 해야한다. 연봉이 드라마틱하게 오르지 않는한 주.. 2023. 12.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