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3 코스피 1차 매수 - 더 나올 악재가 있나 / 기술적 관점 12월 3일 계엄 사태 다음날, 코스피배당성장 지수로 매수 진입. 비관과 조롱이 가득한 국장에 초유의 계엄과 이어질 탄핵 사태까지 이 시장에 더 나올 악재가 있나 싶다. 한국 시장은 코로나 이후 120%에 달하는 급등 후 조정 국면에 있을 뿐 장기 우상향 추세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 믿는다면 지금은 국장을 버리고 떠날 때가 아니라 오히려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한다. 기술적으로 좀 보면 일봉 차트 보면 현재 정치 리스크가 정리 된다면 2700까지는 단기적으로 오를 수 있는데 좀더 큰 그림에서 주봉 보면, 고점 이후 쌍봉 출현, 기준선-전환선 데드크로스, 앞에 음운대 보여 아직 매수할 국면이 아니고 파동으로 보면 주봉 고점으로 부터 조정파동 진행 중이라 현재가 대비 -20% 까지는 열고 봐야 하는 상.. 2024. 12. 15. 아라비카 커피 선물 가격과 커피 메이커 주가; 해외주식; 미국주식; 블룸버그 리서치에 나온 해외주식 투자 아이디어가 있어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요점은 커피 선물가격이 최근 급락하여 커피를 원료로 생산하는 기업들의 마진이 향후 크게 개선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대상 기업: KEURIG DR PEPPER(KDP) / JM SMUCKER(SJM) 1. 최근 아라비카 커피 선물가격이 최근 고점 대비 35% 가량 하락 아라비카 커피선물 가격은 올해 2월의 연중 고점에서 35%가량 하락한 상태입니다. 원재료인 커피 가격이 하락하면 원두를 가공해 판매하는 기업들의 해당 부분 마진이 크게 개선 되는 것은 당연하겠죠 ? 블룸버그는 이런 가격하락이 2분기 실적부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브라질의 탑 생산자들은 여전히 수확중인데 올해 겨울 온화한 기후와 풍부한 강수 전망.. 2023. 7. 1. 내수 소비재의 밸류에이션 아모레퍼시픽 같은 경우 소비재가 왜 PER을 30배도 넘게 받는것일까? 소비재의 경우 원래 멀티플을 높게 받는다 KOSPI PER가 9배라하면 소비재는 15배 정도 소비재이면서 수출도 하면 20배 이상 소비재이면서 수출도 하는데 그중에도 잘나가는 회사면 30배를 훌쩍 넘는 밸류를 받기도 한다. 아모레는 소비재 회사로 계속해서 돈을 버는 회사라 원래 15배 수준의 밸류를 받았다 그러다 중국 수요가 터지면서 화장품 대장주로서 57배 까지 밸류를 받기도 했음. 문제는 이렇게 높은 멀티플을 받는 주식들은 추가적인 성장, 기존에 고성장하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길때 밸류에이션이 훅훅 빠진다 57배까지도 받던 아모레는 현재 35배 수준을 받고있다. 2018. 2.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