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8 2024-11-27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프리뷰 1. 지난 10.11 금통위 이후 매크로 변화 지난 금통위 이후 미국의 코어물가 안정세 지속되고 있으며 성장은 다소 둔화 고용은 10월 비농업 고영 서프라이즈 이후 안정국면 보이나 여전히 견고함ISM제조업은 추가 하락해 연중 가장 낮은 수치 보이고 있으나 PMI는 여전히 견조해보임국내 펀더멘털은 CPI, core물가 모두 전년비 2.0% 하회하며 물가 목표를 하회. 특히 헤드라인 CPI는 1.3%로 매우 낮은 모습성장, 고용, 소비, 수출 모든 부분에서 지난 회의 대비 악화된 펀더멘털 나타나고 있음. 금융안정 부분에서는 정부의 대출억제 정책으로 가계부채와 주담대 증가율이 각각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환율은 65원 가량 상승. 2. 예상 및 근거펀더멘털상 인하를 위한 조건은 충분.지난 회의 첫 인하 이.. 2024. 11. 28. 2024-10-14 daily 아침 시황- 오버나잇 트레져리 2년 10년 각각 -2 +3빕, 커브 크게 스팁- PPI가 예상 하회, 미시간대 서베이도 예상보다 약함. - 장기는 왜오른거 ? 선거 다가오면서 재정 리스크 다시 프라이싱 들어가는 중인듯. - 약한 데이터로 강세 보인 단기와 선거 이슈로 못 강하진 장기라면 원화 시장은 앞쪽 강세를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 - 금통위에도 장중 밀려서 저가 부근 마감한 것 감안하면 원화는 +3틱, +5틱 정도가 적당해 보임. - 적정가치 모델을 보면 10년 밸류가 최근 시장 약세로 적정 영역으로 들어왔으며- 커브는 대부분이 적정 레벨로 현재 가격 수준에서 kink는 보이지 않아 또 한동안 지루한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그래도 롱 바이어스 가진채로 짧게 익절대응. 금일 매매- 10선.. 2024. 10. 14. 2024-10-11 daily: 금통위 / 첫 인하 아침 시황- 오버나잇 트레져리 2년 10년 각각 -5 -1빕, 커브 스팁 반등- 물가는 CPI 0.2 core 0.312 mom / 2.4 3.3 yoy 로 모두 예상치 0.1%p 상회- 다만 신규실업 수당 청구가 258k vs 230k로 상승- 예상대로 높은 CPI에 대한 반응으로 트레져리 샐오프, 피크 찍고 금리 하락함.- 샐오프 여기서 잠시 멈출 듯 하고, 되돌림 타겟은 3.96으로 여기서 부터 10비피 랠리 가능- 최근 원화 시가는 트레져리 약세 절반정도 반영에서 1~2비피 강한 수준 시작하며 한미스플 -25빕 눌림- 이부분 되돌림에 더 가능성 고려하면 금일 오버나잇 반영은 -2 -1빕 적절. - 인하 예상하고 시가 매수 대응 금일 매매- 아침 시가 3선 매수 @ 105.84 300+- 인하 발.. 2024. 10. 11. 2024-10-10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프리뷰 1. 지난미팅 : 3.5% 동결, 만장일치, 3m Fwd guidance -25bp 4명 2. 지난미팅 이후 시장 동향 (24.08.22~)- 미국 CPI하락세 지속, 3분기 고용도 슬로우해지며 9월 FOMC -50bp 선제적 인하 단행 - 시장은 선제적 큰 폭 인하에 경기침체 확률 줄이며 커브 불스팁 반응했으나, - 9월 논팜 이후 추가 인하 프라이싱도 지워가며 베어플랫 진행중. - 국내 펀더멘털은 지난 회의 대비 물가, 소비, 수출증가율 모든 부분에서 모멘텀 둔화 보였으나 - 미국금리 급등에 동조하며 시장 프라이싱은 지난 회의 대비 보합수준 - 우려였던 금융안정요인은 여전히 가계부채, 주담대 증가세 이어지며 금리 인하 방해 요인으로 남아있음. - 대외 변수는 유가가 중동 전쟁 불안에도 지난 회의대비 .. 2024. 10. 10. 2024-02-21 한국은행 / 2월 금융통화위원회 / 기준금리 1. 지난 미팅 ~ 지금까지 시장상황. - 지난미팅: 만장일치 동결 3.5% - 시장상황: - 지난 회의 이후 미국의 강한 물가 및 성장 데이터 지속, 6회에 가까웠던 연내 FOMC인하 프라이싱은 현재 3.6회로 되돌린 상황. - 펀더멘털과 인하 반영 수준의 괴리를 크게 좁히며 fair value에 근접해가는 모습. - 국내 경제는 헤드라인과 코어물가 yoy로 모두 상승률 둔화 지속하며 디스인플레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는 모습이나 금리는 미국금리 연동되며 10년 기준 트레저리의 절반가량 따라 오름. - 하락세를 보이며 디스인플레 기조에 tail wind 였던 유가는 재차 80$ 레벨에 근접하며 물가에 부담으로 인식되기 시작, 유가하락이 환율과 상쇄되었던 지난 미팅과 달리 수입가격의 두 요소 동반 상승 중 .. 2024. 2. 21. 2024-01-11 한국은행 / 금융통화위원회 / 기준금리 금일 금통위 전 써놓은 금통위 시나리오 및 대응 기록 2024. 1. 11. 2023-01-15 해외리포트 정리 Goldman Sachs_global rates trader - Cooling inflation argues for step down in pace, not level 12월 미국 CPI가 +0.3% mom, +5.7% yoy로 인플레이션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그에 따라 시장 프라이싱은 다음 FOMC미팅에서 25bp 으로 인상폭 하향과 포워드 금리 레벨에 대해서도 낮게 프라이싱 하고 있음 하지만 골드만은 첫번째 프라이싱엔 동의할 수 있지만 두번째는 과도한 프라이싱이라고 생각한다 첫번째, 미국 activity data가 슬로우 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 지적한 바와 같이 이는 soft data에 집중된 현상. hard data는 아직 슬로우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두번쨰, 고용시장이 여전히 상대적.. 2023. 1. 15. 한국은행 기준금리인상의 조건 이주열 "물가 2%, 성장률 2.9%시 금리인상 고려"(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전소영 강수지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인 2%,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인 2.8~2.9% 수준에 도달할 경우 금리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의 질의에 "중기적 관점에서 물가가 타깃으로 정한 2%에 수렴하는 상황이고, 경제성장률이 잠재 수준을 회복한다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다만, "그런 흐름이 기조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을지는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이 한은 금리인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중요한 고려 요소임에는 분명하지만, 구속요인.. 2017. 10.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