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 10.11 금통위 이후 매크로 변화
- 지난 금통위 이후 미국의 코어물가 안정세 지속되고 있으며 성장은 다소 둔화
- 고용은 10월 비농업 고영 서프라이즈 이후 안정국면 보이나 여전히 견고함
- ISM제조업은 추가 하락해 연중 가장 낮은 수치 보이고 있으나 PMI는 여전히 견조해보임
- 국내 펀더멘털은 CPI, core물가 모두 전년비 2.0% 하회하며 물가 목표를 하회.
- 특히 헤드라인 CPI는 1.3%로 매우 낮은 모습
- 성장, 고용, 소비, 수출 모든 부분에서 지난 회의 대비 악화된 펀더멘털 나타나고 있음.
- 금융안정 부분에서는 정부의 대출억제 정책으로 가계부채와 주담대 증가율이 각각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환율은 65원 가량 상승.
2. 예상 및 근거
- 펀더멘털상 인하를 위한 조건은 충분.
- 지난 회의 첫 인하 이후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후퇴한 펀더멘털로 이런식의 인하는 효과도 없고 정책 옵션만 소진한다는 비판을 의식하게 될 것.
- 대외 변수는 25년 유가 전망이 낮아지고 있고, 환율이 크게 올랐으나 같은기간 달러인덱스 상승분 대비 원화약세가 두드러 지지 않아 레벨은 높지만 부담스럽지 않은 상황으로 판단
- 가계부채 총량은 상승하나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음.
- 수출 증가율은 10월 반등하는 듯 했으나 최근 상승률 다시 하락하고 있으며 내수부진이 심각.
- 25bp 인하 후 도비시한 기자회견을 예상.
- 트럼프 당선 이후 랠리 해 가격 메리트 크지 않으나 도비시한 정책 기조 전환으로 터미널 금리 2.25~2.50 프라이싱 들어갈 것.
- 따라서 3년 금리가 2.5%까지 랠리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음.
- 매수전략 우위라고 판단.
'글로벌매크로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2-05 daily (1) | 2024.12.06 |
---|---|
2024-12-02 daily (1) | 2024.12.03 |
2024-11-17 GS FX outlook 2025 (2) | 2024.11.17 |
2024-11-07 daily, 이번 하락장 복기 (0) | 2024.11.08 |
2024-11-06 daily (6) | 2024.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