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xed Income 101

화폐금융론 다시보기 (3) 외환시장

by 레오파드91 2023. 1. 24.

1. 장기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상대 물가수준: 한 국가의 물가 수준의 상대적인 상승은 이 국가의 통화를 절하

- 무역장벽: 무역장벽을 높이면 장기적으로 이 국가의 통화를 절상시킴

- 국내 재화와 외국 재화간의 선호: 한 국가의 재화에 대한 수출 수요의 증가는 통화를 절상

- 생산성: 생산성 좋은 나라의 통화가 절상

 

2. 단기 환율: 수요와 공급 분석

위 장기 환율의 결정요인은 너무 장기간 완만하게 이루어 지기 때문에 단기 변동을 분석하기에 부적합. 

자산시장의 수요공급 모델을 다시 차용

특정 통화 표시 자산에 대한 공급과 수요의 변동으로 환율변동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달러자산을 기준으로 설명) 

 

공급: 공급되는 달러자산의 양은 고정으로 간주해 수직선

수요: 기대되는 미래 환율이 일정할 경우, 현재 환율이 낮아지면 달러자산의 기대수익이 높아지므로 수요량 증가해 우하향 곡선

 

달러 자산의 양이 고정이라면 달러자산의 수요곡선 이동에 따라 단기 환율 변동이 설명 될 것. 

결국 국내 자산 및 재화의 수요를 늘리는 요인들이 자국 통화를 절상시킬 것. 

어떤 요인이 변할때 그 통화의 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생각하자. 

 

- 국내 (실질)이자율

- 외국 이자율

- 예상물가

- 예상무역장벽

- 예상수입수요

- 예상수출수요

- 예상되는 생산성 

 

명목 이자율이 상승하더라도 그 이유가 인플레이션에 의한 것이라면 이자율 상승에도 통화는 절하 될 수 있다. 

따라서 FX포지션의 주요 근거는 아래에 대한 예측과 분석에 기반으로 해야한다. 

 

- 실질 금리의 전망

- 인플레이션 전망 

- Trade balance의 전망

댓글